지난 12일, 서울시는 올해 하반기부터 '맨홀 추락 방지 시설'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맨홀뚜껑 아래 그물이나 철 구조물등을 설치하는 것이다. 지난 8일 서울시 서초구에서 집중호우로 불어난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맨홀 뚜껑이 열렸고, 그 구멍 속으로 남매가 추락해 숨졌다. 해당 맨홀은 뚜껑에 '잠금기능' 이라는 특수한 장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간당 100mm 이상 내렸던 비의 수압을 견뎌내지 못했다.

서울시는 이런 사건의 대비책으로, '맨홀 추락 방지 시설'을 내놓았고, 저지대 등의 침수취약지역과 하수구 역류구간에 우선적으로 도입하겠다고 했다. 시는 재난관리기금 등... 필요한 사업비를 적극 지원하고, 설치는 자치구에서 할 예정이다.
이 시설이 설치되었을 때, 안전망에 부유물이 걸려 배수를 막아 오히려 하수구의 물 흐름을 방해할 수 있고, 그물이 헐거워져 발이 묶일 수 있다는 우려도 있지만, 물흐름 방해같은 경우는 시설이 맨홀 상부에 위치할 경우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연이은 비피해에 '한제현' 서울시 행정2부장은 "우기에 맨홀 뚜껑 열림 사고로 인명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신속하게 조치하겠다"고 밝혔다.